◆ 철근
1) 국산 – 각 제강사의 원자재 상승분 원가 반영으로 인한 철근 단가 인상, 1/4 분기 억눌린 실수요가 증가세로 돌아선 부분 또한 유통가의 장기적인 상승 예상
2) 수입 – 인상된 국산 철근의 수요를 대체할 수입 철근의 수입량은 작년 7월 이후 최대치 기록, 국산 철근의 기준가 인상에 따른 지속적 수요 증대 예상
◆ HB 및 일반형강
1) H형강의 지속적인 실수요 감소에 따른 제강사 생산 원가 반영 난항, 기준가 및 유통 가격의 보합세 유지
◆ 담당자 의견
- 철근 실수요 증대에 따른 제강사 고시가 상당 부분 시장 반영 예상, 실수요 및 유통시장에서 꾸준히 인상된 단가에 대한 저항감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수입 철근이 수요분을 일정 부분 대체할 가능성 또한 있음
- 원자재 파동과 철근 일부 강종의 수급 불안에 따른 유통가 인상은 22년 상반기 중 지속될 것으로 예상